써클(Circle) 나스닥 상장 완벽 분석: USDC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 규제, 투자 전망과 주가 동향 총정리
안녕하세요 seosetbu입니다. ^^ 2025년 6월 5일,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인 써클(Circle Internet Group)이 뉴욕증권거래소에 성공적으로 상장하며 디지털 자산 업계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습니다. 공모가 31달러로 시작한 써클의 주가는 상장 첫날 168% 급등하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증명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과 전통 금융의 융합을 선도하는 써클의 성공적인 IPO는 단순한 기업 공개를 넘어, 스테이블코인이 주류 금융 시스템으로 진입하는 역사적 순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써클의 사업 모델부터 최신 동향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써클(Circle) 기업 개요
써클 인터넷 그룹(Circle Internet Group, Inc.)은 2013년 제레미 J. 알라이어(Jeremy J. Allaire)와 패트릭 숀 네빌(Patrick Sean Neville)이 설립한 금융 기술 회사입니다. 본사는 뉴욕에 위치하며, 디지털 화폐와 공공 블록체인을 활용해 기업들이 결제, 상거래, 금융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 사업입니다.
써클의 가장 중요한 제품은 USD 코인(USDC)으로, 미국 달러와 1:1로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비트코인과 달리 가격 변동이 거의 없어 '디지털 달러'로 불리며, 국제 송금, 분산형 금융(DeFi), NFT 거래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현재 USDC는 시장점유율 약 25%로 테더(USDT)에 이어 세계 2위의 스테이블코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 USDC의 시가총액은 약 610억 달러에 달하며, 20개 이상의 블록체인에 통합되어 6억 개의 지갑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업 모델 및 수익 구조
써클의 수익 구조는 매우 안정적이고 독특합니다. 수익의 99%가 USDC 준비금 운용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에서 나옵니다. 써클은 고객들이 USDC를 발행할 때 받은 달러를 미국 단기 국채와 현금성 자산에 투자하여 이자 수익을 창출합니다.
주요 수익원
준비금 운용 수익: USDC 준비금으로 보유한 단기 국채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이 전체 매출의 99%를 차지합니다. 2024년 회계연도 기준 준비금 운용 수익은 16억 6,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습니다.
거래 수수료: USDC를 활용한 결제, 송금, 거래소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수료가 있습니다.
API 및 서비스 수수료: 기업과 개발자에게 제공하는 USDC 기반 솔루션에서 발생하는 이용료입니다.
최신 재무 성과
2025년 1분기 써클의 재무 성과는 매우 인상적입니다. 매출은 5억 7,857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8.47%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6,479만 달러로 33.21% 성장했습니다. 이는 높은 국채 수익률과 USDC 채택 증가의 결과로 분석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금리가 하락하는 환경에서도 USDC 유통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전체 수익이 늘어났다는 것입니다. 2024년 약 320억 달러였던 USDC 유통량이 2025년 1분기에는 600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써클의 준비금 수익도 3.6억 달러에서 5.5억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상장 성과 및 주가 동향
써클의 IPO는 최근 30년간 10억 달러 규모 상장 중 가장 강력한 초기 성과를 보였다고 평가받습니다. 2025년 6월 5일 공모가 31달러로 시작한 써클의 주식은 상장 첫날 83.23달러로 마감하며 168% 급등했습니다.
주가 상승 추이
상장 이후 써클의 주가는 연일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상장 이틀째인 6월 6일에는 107.7달러로 29.4% 추가 상승했으며, 한때 123.51달러까지 치솟기도 했습니다. 6월 18일에는 199.59달러로 마감하며 IPO 대비 약 6배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현재까지 써클의 최고가는 298.71달러로, 공모가 대비 748% 상승한 수치입니다. 시가총액은 최고 770억 달러를 넘어서며 USDC 유통량을 웃도는 수준을 보였습니다.
상장 성공 요인
써클의 상장 성공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미국 전통 금융권의 전폭적인 지원이 핵심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골드만삭스, 피델리티, 블랙록 등 월가 대형 금융기관들이 주요 투자자이자 사업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규제 친화적 구조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써클은 까다로운 미국 금융 당국과 정부의 규제를 전부 수용하고 지키며, 준비금을 미국 국채와 현금성 자산으로만 구성해 뛰어난 투명성을 확보했습니다.
경쟁 환경 및 시장 지위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현재 테더(USDT)와 써클(USDC)의 양강 구도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2025년 6월 기준 테더의 발행량은 1,563억 달러로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약 62.1%를 점유하고 있으며, 써클의 USDC는 618억 달러로 약 25%의 점유율을 차지합니다.
테더와의 차별점
써클과 테더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규제 준수 접근법입니다. 써클은 시작부터 골드만삭스 등이 투자해 미국 자본가들이 기획한 '규제 친화적 스테이블코인'으로 출발했습니다. 반면 테더는 다소 불투명한 재무와 회계 관리로 구설수에 오른 바 있습니다.
최근 시장 점유율 변화도 주목할 만합니다. 듄(Dune)과 아르테미스(Artemis)의 보고서에 따르면, USDT 점유율은 2025년 2월 말 64%로 1년 전보다 5% 줄었으며, USDC 점유율은 같은 시기 24.5%로 1년 전보다 4% 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규제 준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USDT는 글로벌 규제 준수를 적극적으로 따르지 않아 유럽 등 일부 지역에서 거래가 제한되었으며, 반대로 USDC는 글로벌 규제 준수를 적극적으로 따르면서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습니다.
시장 성장 전망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매우 큽니다. 씨티(Citi) 그룹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2030년까지 1조 6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4,000억 달러 규모인 시장이 수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입니다.
2024년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은 27조 6천억 달러 규모로,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의 거래량을 합친 것보다 약 8% 더 많은 수준입니다.
규제 환경 및 정책 변화
써클의 성공적인 상장 배경에는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환경 개선이 있습니다. 2025년 6월, 미국 상원은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위한 주요 법안인 GENIUS Act(미국 스테이블코인 혁신 수립 및 안내법)를 초당적 지지로 통과시켰습니다.
GENIUS Act의 주요 내용
GENIUS Act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과 운영에 대한 명확한 규제 체계를 명시합니다. 주요 조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행 등록 요건: 연준(Fed) 혹은 OCC 산하 등록이 필수이며, 주정부 등록만으로는 불충분합니다.
준비자산 요건: 100% 현금 또는 미 국채, Fed Reverse Repo 등 고유동성 자산만 허용됩니다.
공시 요건: 준비금 현황을 월간 외부감사 보고서로 제출하고 실시간 준비금 대시보드를 운영해야 합니다.
감독기관 명시: 연준 중심 감독 체계를 수립하며, SEC의 증권 관할과는 구분됩니다.
써클에 미치는 영향
GENIUS Act는 써클에게 가장 유리한 법안으로 평가됩니다. 써클은 이전부터 지니어스 법안의 요건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USDC는 100% 국채 및 현금, 외부 검사, 교환성 등을 모두 만족하고 있었으며, 법안이 통과되면서 "합법적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로 인가받은 써클의 지위가 제도권 안에 있는 금융 기관들과 유사한 위치로 올라섰습니다.
반면 가장 큰 경쟁사인 테더는 미국 내 거래소, 기관 거래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USDC의 점유율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래 전망 및 성장 가능성
써클의 미래 전망은 매우 밝습니다. 여러 전문가들은 써클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제도화와 확산의 최대 수혜자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합니다.
성장 동력
규제 명확성: GENIUS Act 통과로 스테이블코인의 법적 지위가 명확해지면서, 기관투자자와 전통 금융기관의 진입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익원 다각화: 써클은 준비금 수익 외에도 스테이블코인 거래 서비스, 신제품 출시 등으로 수익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비이자 수익 비중은 전체 매출의 3.6%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었습니다.
글로벌 확장: 써클은 일본 SBI홀딩스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아시아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SBI는 자회사 SBI신세이은행을 통해 써클에 총 5,000만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장기 전망
써클의 장기적인 주가 전망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세, 규제 환경의 발전, USDC의 채택률 증가에 달려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이 주류 금융 시스템에 더욱 깊이 통합되고, 써클이 시장 리더십을 유지한다면 긍정적인 전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이 신용카드 이후 가장 큰 혁신 기술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4,000억 달러 규모인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수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인 가운데, 기존 금융사들도 이 시장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현재 주가가 대부분의 기관 목표가를 초과한 상태지만, 기업의 실적 흐름과 시장 성장성을 감안할 때 중장기적으로는 300달러 이상도 충분히 노려볼 수 있는 수준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마치며
써클의 성공적인 나스닥 상장은 단순한 기업 공개를 넘어 디지털 자산이 전통 금융 시스템으로 진입하는 역사적 순간을 의미합니다. 스테이블코인 USDC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과 전통 금융을 연결하는 써클의 비즈니스 모델은 안정적인 수익 구조와 높은 성장 잠재력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GENIUS Act 통과로 스테이블코인의 법적 지위가 명확해지면서, 써클은 규제 준수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했습니다. 테더와의 경쟁에서도 투명성과 규제 친화적 접근법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2030년까지 1조 6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써클은 이러한 성장의 핵심 수혜자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수익원 다각화와 글로벌 확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있는 써클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써클의 성공은 궁극적으로 디지털 자산과 전통 금융의 융합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입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러한 거시적 변화와 함께 써클의 사업 모델과 성장 전략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출처 : Finance Magnates, The Economic Times:PYMNTS, Stock Analysis, BIPC, Circle 공식 리포트
※ 면책조항 : 본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콘텐츠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은 독자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으니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